2012의 게시물 표시

조경식재

양수 : 모향석산 미소플무 가매    - 모과나무, 향나무, 석류나무, 산수유, 미루나무, 소나무, 플라타너스, 무궁화, 가중나무, 매화나무 음수 : 사주팔아 송가독서회 식전후비    - 사철나무, 주목, 팔손이, 아왜나무, 송악, 가리목, 독일가문비, 서향나무, 회양목, 식나무, 전나무, 후박나무, 비자나무 방풍수 : 동편화 사가구    - 동백나무, 편백나무, 화백나무, 사철나무, 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방화수 : 아동은 식구굴층    - 아왜나무, 동백, 은행, 식나무, 구실잣밤나무, 굴거리, 층층나무 내염성(약) : 독일소왕    - 독일가문비, 일본목련, 소나무, 왕벚나무 내염성(강) : 동해눈비 사광    - 동백나무, 해송, 눈향나무, 비자나무, 사철나무, 광나무 비옥지 : 벽측주장 불철회 벚    - 벽오동, 측백나무, 주목, 장미, 불두화, 철쭉, 회양목, 벚 척박지 : 소향아 자자 오동    - 소나무, 향나무, 아카시아, 자작나무, 자귀나무, 오리나무, 등나무 심근성 : 백목은 소모전 느    - 백합나무, 목련, 은행, 소나무, 모란, 전나무, 느티나무 천근성 : 독미현 자매편 버    - 독일가문비, 미루나무, 현사시나무, 자작나무, 매화, 편백, 버드 맹아력(강) : 히미가느    - 히말라아시다, 미루나무, 가시나무, 느티나무 맹아력(약) : 소단능해    - 소나무, 단풍나무, 능수벚나무, 해송 공해(약) : 전자소독 느    - 전나무, 자작나무, 소나무, 독일가문비, 느티나무 공해(강) : 버벽은 사가   - 버즘나무, 벽오동, 은행나무, 사철나무, 가시나무 모래터 녹음 : 버튤백    - 버즘나무,...

조경사 - 동양(한국조경)

<삼국시대>  고구려 - 안학궁, 대성산성  백제 - 임류각(문헌상 최초정원), 궁남지(방장선호, 신선사상)  신라 - 황룡사 정전법(격자형 가로망계획) <통일신라>  임해전지원 - 안압지(거북모양섬, 신선사상, 동국여지승람)  포석정의 곡수거  최치원 - 별서정원(은둔) <고려>  격구장  화원  정자  석가산 -중국  충렬왕 - 내원서 <조선>  경복궁 - 경회루 -> 경회루지원             - 아미산 -> 교태전후원             - 향원정 -> 향원지원(방지원도) * 방지방도 : 네모난 연못에 네모난 섬 * 방지원도 : 네모난 연못에 원형의 섬  세조 - 장원서 <- 동산바치  창덕궁 - 비원 - 후원(주정원)             - 반도지, 부용지, 옥류천    덕수궁 - 석조전 - 최초의 유럽식 건물             - 침상원 - 최초의 유럽식 정원  강희안 - 향화소록, 화안소록 $조선 후기  창덕궁 - 동궐  낙성제 후원 : 5단의 계단식 화계  별서 정원    - 정약용 : 다산초당    - 유은공 : 화선당    - 윤선도 : 부용도원림  별업정원 조경식물 문헌 암기하기  브라운 -> 탑골공원

조경사 - 동양(일본조경)

<아스카> 비조  임천식(물)  백제의 노자공 => 수미산, 오교(다리) <헤이안> 평안  침전식  침전조정원  정토경원(사찰) <가마쿠라> 겸창  침전식, 임천식  정토경원(사찰)  선종경원(사찰)  *몽창소석(조경가) : 서방사 <무로마치> 실정  축산고산수식 (물X, 나무:산, 바위:폭포, 왕모래:물) - 대덕사  평정고산수식 (바위, 모래) - 용안사(15개 돌이 동에서 서방으로 배치) <모모야마> 도산  다정식  신선경원  다정원 - 삼보원정원 (히데요시) <에도시대> ~1867 근세  전기 - 교토중심, 소굴원주  중기 이후     - 취상어원, 육의원     - 다정원, 지천회유식(물을 끌어 다리를 놓음) <메이지시대> 명치  신주쿠고엔(도쿄, 프랑스식) - 앙리마리티네  히비야 공원 : 일본 최초의 서양식 공원 임천식 -> 회유임천식 -> 축산고산수(바위,나무,모래) -> 평정고산수(바위,모래) -> 다정식 -> 회유식

조경사 - 동양[중국의 조경]

중국조경 <은, 주> 원 - 과수원 유 - 금수를 사육 포 - 채소밭 영대 - 낮에는 조망 밤에는 은성명월 원유 - 수렵원 <진> 아방궁 난지궁, 난지 <한나라> 상림원(수렵터) 태액지원 - 봉래, 방장, 영주 [신선사상 : 장수,탈속세(연못 속의 섬)] 대 관 - 조망 각 - 정자 원광한의 정원 <삼국-위촉오> 화림원 <진> 왕희지의 난정고사 ( 곡수연을 위한 곡수거) <수> 현인궁 <당> 온천궁 이덕유의 평천산정 <송> 만세산(석가산) 창랑정(소주) 태호(태호석) 경원 <-> 금원 <금> 북해공원 <원> 사자림(소주) 만수산 - 백색의 라마탑(티벳식) *소주의 4대 명원 1. 창랑정 - 송 2. 사자림 - 원 3. 졸정원 - 명 4. 유원 - 청 <명> 졸정원(소주) <청> 건륭화원 이화원 원명원 이궁 열하 피서 산장 <명> 금원(왕이 들어가는 정원) 경원(경치 좋은 곳) 졸정원 <- "왕헌신" 이 만듬, 곡교 "경원" 관련 서적 - 문지명(), 계성(원야), 왕세정(유금릉제왕기), 육소영() <청> 원명원 (서양식 조경스타일) : 프랑스 베노아가 분수를 설계 금원 : 어화원, 건륭화원 경산, 서원(태액지) 원명원 이궁 (프랑스식 정원) 만수산 이화원 중국 조경의 특징 자연미, 인공미, 태호석을 이용한 석가산, 대비, 사의주의적

조경사 - 중세의 조경

*중세의 조경 (암흑기) 1. 서유럽 : 수도원정원(채소원, 약초원), 회랑식 중정    - 클로이스터 가든 : 수도자들의 명상, 대화장소, 회랑이 아치모형    - 파라디소 : 돌수반에 분수를 만들고 샘을 만듦    - 성관정원 : 매듭무늬화단(Knot) - 장미이야기에 기록이 있음 2. 이슬람 : 스페인, 이란, 인도, 무굴인도    - 무어인(스페인 남부지방) 3. 스페인    - 포르도바 : 대모스크 178 * 128, 오렌지 중정    - 알함브라 궁전(그라나다)       + 알베르카 중정 : 도금양(천인화)의 중정       + 사자의 중정 : 분수로부터 4개의 수로       + 다라하의 중정 : 부인실       + 레아의 중정(창격자의 중정) : 사이프러스 중정    - 제네랄리페 (이궁) : 높이 솟은 정원       + 수로의 정원 - 연꽃       + 사이프러스 중정 - 6개의 노단 4. 이란    - 이슬람 영향 : 물이 가장 중요한 요소    - 연못, 저수지 중심 : 대추야자, 사이프러스    - 이스파한(정원도시) : 바그 -> 건물과 정원을 하나로 지어 놓은것       + 차하르바그 : 중아에 7 Km 의 수로       + 왕의 광장 : 380 m x 140m       + 40 주궁 5. 무굴인도 (이슬람의 지배를 받았던 인도)    - 람바그 (건물+정원) -> 무굴 최고의 광대한 정원    - 타지마할 -...

조경사 - 고대정원

고대정원 *이집트 1. 주택정원 : 녹음, 관수, 화분 &lt;- 대추야자, 시커모아 아메노피스3세 - 신하를 위한 분묘(분묘정원)                 방형의 높은 담, 침상지, 키오스크(간이그늘막), 포도덩굴 2. 장제신전 (신원)    합세수스여왕 3. 사자의 정원 *고대 서부아시아(메소포타미아 지역) 1. 메소포타미아 문명   *볼트(둥근지붕)와 아치의 발달로 공중정원 발달   *수렵원(길가미시(고대문헌) 기록)   *공중정원 (네부카드네자르 or 느브갓네살(성경))' 2. 페르시아    파라다이스가든 *그리스 1. 주택정원    - 프리에네 중정 (주랑식 중정, 방향성(허브)식물, 대리석)    - 아도니스정원 (비너스여신의 사랑을 받은 아이, 멧돼지에게 죽음) - 포트가든(화분정원) 2. 공중정원    - 성림 (성스러운 숲) 3. 도시계획    - 히포다무스(격자형 도시계획)    - 아고라 (건물 중심의 토론장) *고대 로마의 주택정원 -제 1중정(아트리움) -> 손님 상담, 접대 - 무열주식(기둥 없음) -제 2중정(페리스틸리움:주정원) -> 가족의 사적인 장소 - 주랑식(화훼를 정형식으로 식재) -지스터스 -> 뒤뜰, 5점 식재 *고대 로마의 빌라 - 아트리아누스장(대별장) : 아두리아누스 황제의 별장 - 포름 (대화장소) : 일반광장, 시장광장, 황제광장    + 그리스-아고라, 로마-포름

공식

이미지
양단면법 중앙단면법 각주공식 삼각형분할식 등고선법 함수률 우수유출량 인력운반 운반횟수 1회 운반소요시간 곡선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