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22

 2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Even though there is good reason to consider a dog a sentient being capable of making choices and plans so that we might suppose 'it could have conceived of acting otherwise' -- we're unlikely to think it is wicked and immoral for attacking a child. Moral responsibility is not some universal concept like entropy or temperature -something that applies equally, and can be measured similarly, everywhere in the cosmos. It is a notion developed specifically for human use, no more or less than languages are. While sentience and volition are aspects of mind and agency, morals are cultural tools developed to influence social behaviour to cultivate the desirable and discourage the harmful. They are learnt, not given at birth. It's possible, indeed likely, that we are born with a predisposition to cooperate with others but only within human society do we come to understand this as moral behaviour.

* sentient: 지각력이 있는

* volition: 의지

1. 도덕성은 자신의 선택에 대해 책임을 진다는 개념이다. 

2. 동물과 인간을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은 분별력과 언어이다. 

3. 도덕성은 학습되는 문화적 도구로서 인간 사회에만 나타난다. 

4. 동물과 인간은 공통적으로 다른 개체와 협력하는 경향이 있다.

5. 문화적 도구로서의 도덕성은 개체의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 3번




Even though there is good reason to consider a dog a sentient being capable of making choices and plans so that we might suppose 'it could have conceived of acting otherwise' -- we're unlikely to think it is wicked and immoral for attacking a child.

개를 선택과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지각 있는 존재로 간주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기에, 우리는 개가 '그렇지 않은 행동을 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개가 아이를 공격했다고 해서 사악하고 부도덕하다고 생각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Moral responsibility is not some universal concept like entropy or temperature -something that applies equally, and can be measured similarly, everywhere in the cosmos.

도덕적 책임은 엔트로피나 온도처럼 우주 어디에서나 동일하게 적용되고 유사하게 측정될 수 있는 보편적인 개념이 아닙니다.


It is a notion developed specifically for human use, no more or less than languages are. While sentience and volition are aspects of mind and agency, morals are cultural tools developed to influence social behaviour to cultivate the desirable and discourage the harmful.

그것은 언어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사용을 위해 특별히 개발된 개념입니다. 지각과 의지는 정신과 행위의 측면이지만, 도덕은 바람직한 것을 함양하고 해로운 것을 억제하기 위해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도록 개발된 문화적 도구입니다.


They are learnt, not given at birth. It's possible, indeed likely, that we are born with a predisposition to cooperate with others but only within human society do we come to understand this as moral behaviour.

도덕은 태어날 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타인과 협력하려는 성향을 가지고 태어났을 가능성이 높지만, 인간 사회 안에서만 우리는 이를 도덕적 행동으로 이해하게 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조경사 - 중세의 조경

조경사 - 고대정원

2025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40번 문제

조경사 - 동양[중국의 조경]

2025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31번 문제

2025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39번 문제

조경사 - 동양(한국조경)

Shifts in U.S. Foreign Policy and Their Impact on Northeast Asia.

2025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32번 문제

2025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