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물 + 분수

이미지

벽천 조경

이미지

가로수길 조경

이미지

조경식재

양수 : 모향석산 미소플무 가매    - 모과나무, 향나무, 석류나무, 산수유, 미루나무, 소나무, 플라타너스, 무궁화, 가중나무, 매화나무 음수 : 사주팔아 송가독서회 식전후비    - 사철나무, 주목, 팔손이, 아왜나무, 송악, 가리목, 독일가문비, 서향나무, 회양목, 식나무, 전나무, 후박나무, 비자나무 방풍수 : 동편화 사가구    - 동백나무, 편백나무, 화백나무, 사철나무, 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방화수 : 아동은 식구굴층    - 아왜나무, 동백, 은행, 식나무, 구실잣밤나무, 굴거리, 층층나무 내염성(약) : 독일소왕    - 독일가문비, 일본목련, 소나무, 왕벚나무 내염성(강) : 동해눈비 사광    - 동백나무, 해송, 눈향나무, 비자나무, 사철나무, 광나무 비옥지 : 벽측주장 불철회 벚    - 벽오동, 측백나무, 주목, 장미, 불두화, 철쭉, 회양목, 벚 척박지 : 소향아 자자 오동    - 소나무, 향나무, 아카시아, 자작나무, 자귀나무, 오리나무, 등나무 심근성 : 백목은 소모전 느    - 백합나무, 목련, 은행, 소나무, 모란, 전나무, 느티나무 천근성 : 독미현 자매편 버    - 독일가문비, 미루나무, 현사시나무, 자작나무, 매화, 편백, 버드 맹아력(강) : 히미가느    - 히말라아시다, 미루나무, 가시나무, 느티나무 맹아력(약) : 소단능해    - 소나무, 단풍나무, 능수벚나무, 해송 공해(약) : 전자소독 느    - 전나무, 자작나무, 소나무, 독일가문비, 느티나무 공해(강) : 버벽은 사가   - 버즘나무, 벽오동, 은행나무, 사철나무, 가시나무 모래터 녹음 : 버튤백    - 버즘나무,...

조경사 - 동양(한국조경)

<삼국시대>  고구려 - 안학궁, 대성산성  백제 - 임류각(문헌상 최초정원), 궁남지(방장선호, 신선사상)  신라 - 황룡사 정전법(격자형 가로망계획) <통일신라>  임해전지원 - 안압지(거북모양섬, 신선사상, 동국여지승람)  포석정의 곡수거  최치원 - 별서정원(은둔) <고려>  격구장  화원  정자  석가산 -중국  충렬왕 - 내원서 <조선>  경복궁 - 경회루 -> 경회루지원             - 아미산 -> 교태전후원             - 향원정 -> 향원지원(방지원도) * 방지방도 : 네모난 연못에 네모난 섬 * 방지원도 : 네모난 연못에 원형의 섬  세조 - 장원서 <- 동산바치  창덕궁 - 비원 - 후원(주정원)             - 반도지, 부용지, 옥류천    덕수궁 - 석조전 - 최초의 유럽식 건물             - 침상원 - 최초의 유럽식 정원  강희안 - 향화소록, 화안소록 $조선 후기  창덕궁 - 동궐  낙성제 후원 : 5단의 계단식 화계  별서 정원    - 정약용 : 다산초당    - 유은공 : 화선당    - 윤선도 : 부용도원림  별업정원 조경식물 문헌 암기하기  브라운 -> 탑골공원

조경사 - 동양(일본조경)

<아스카> 비조  임천식(물)  백제의 노자공 => 수미산, 오교(다리) <헤이안> 평안  침전식  침전조정원  정토경원(사찰) <가마쿠라> 겸창  침전식, 임천식  정토경원(사찰)  선종경원(사찰)  *몽창소석(조경가) : 서방사 <무로마치> 실정  축산고산수식 (물X, 나무:산, 바위:폭포, 왕모래:물) - 대덕사  평정고산수식 (바위, 모래) - 용안사(15개 돌이 동에서 서방으로 배치) <모모야마> 도산  다정식  신선경원  다정원 - 삼보원정원 (히데요시) <에도시대> ~1867 근세  전기 - 교토중심, 소굴원주  중기 이후     - 취상어원, 육의원     - 다정원, 지천회유식(물을 끌어 다리를 놓음) <메이지시대> 명치  신주쿠고엔(도쿄, 프랑스식) - 앙리마리티네  히비야 공원 : 일본 최초의 서양식 공원 임천식 -> 회유임천식 -> 축산고산수(바위,나무,모래) -> 평정고산수(바위,모래) -> 다정식 -> 회유식

조경사 - 동양[중국의 조경]

중국조경 <은, 주> 원 - 과수원 유 - 금수를 사육 포 - 채소밭 영대 - 낮에는 조망 밤에는 은성명월 원유 - 수렵원 <진> 아방궁 난지궁, 난지 <한나라> 상림원(수렵터) 태액지원 - 봉래, 방장, 영주 [신선사상 : 장수,탈속세(연못 속의 섬)] 대 관 - 조망 각 - 정자 원광한의 정원 <삼국-위촉오> 화림원 <진> 왕희지의 난정고사 ( 곡수연을 위한 곡수거) <수> 현인궁 <당> 온천궁 이덕유의 평천산정 <송> 만세산(석가산) 창랑정(소주) 태호(태호석) 경원 <-> 금원 <금> 북해공원 <원> 사자림(소주) 만수산 - 백색의 라마탑(티벳식) *소주의 4대 명원 1. 창랑정 - 송 2. 사자림 - 원 3. 졸정원 - 명 4. 유원 - 청 <명> 졸정원(소주) <청> 건륭화원 이화원 원명원 이궁 열하 피서 산장 <명> 금원(왕이 들어가는 정원) 경원(경치 좋은 곳) 졸정원 <- "왕헌신" 이 만듬, 곡교 "경원" 관련 서적 - 문지명(), 계성(원야), 왕세정(유금릉제왕기), 육소영() <청> 원명원 (서양식 조경스타일) : 프랑스 베노아가 분수를 설계 금원 : 어화원, 건륭화원 경산, 서원(태액지) 원명원 이궁 (프랑스식 정원) 만수산 이화원 중국 조경의 특징 자연미, 인공미, 태호석을 이용한 석가산, 대비, 사의주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