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29번 문제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3점]

We lack a sufficient vocabulary for making sense of the sources of error. The more scientific knowledge we accumulate, the better we understand that the ignorance over which the knowledge enterprise is built is shockingly deep. For instance, it turned out that psychoanalysis's attempt to delimit the sources of error by categorizing the kinds of mistakes to which humans are subject in light of the therapeutic situation in the talking cure (draw -> draws) on misguided assumptions about the normalcy conditions for subjects. Digging deeper into the structure of the human mind as well as into the specific embodiment of human knowers equipped with a complex nervous system showed that our mental life is filled with illusions on all levels of knowledge acquisition, from sensation to perception, from scientific discourse to the use of technology based on the latest scientific discovery. Yet, once again, we cannot make sense of this picture of ourselves as immersed in the area of ignorance and illusion without at the same time relying on a huge background of shared, objective knowledge that makes our ignorance available to us.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re interwoven with our fallibility.

* embodiment: 화신(化身)

** be immersed in: ~에 깊이 빠지다

*** fallibility: 불완전성, 틀릴 가능성



We lack a sufficient vocabulary for making sense of the sources of error.

우리는 오류의 근원을 이해하기에 충분한 어휘력이 부족합니다.


The more scientific knowledge we accumulate, the better we understand that the ignorance over which the knowledge enterprise is built is shockingly deep.

과학적 지식이 축적될수록, 지식 체계가 구축된 무지가 충격적으로 깊다는 것을 더 잘 이해하게 됩니다.


For instance, it turned out that psychoanalysis's attempt to delimit the sources of error by categorizing the kinds of mistakes to which humans are subject in light of the therapeutic situation in the talking cure (draw -> draws) on misguided assumptions about the normalcy conditions for subjects.

예를 들어, 정신 분석에서 대화 치료라는 치료적 상황에 비추어 인간이 겪는 실수의 종류를 분류하여 오류의 근원을 규명하려는 시도는 피험자의 정상 상태에 대한 잘못된 가정에 기반을 두고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Digging deeper into the structure of the human mind as well as into the specific embodiment of human knowers equipped with a complex nervous system showed that our mental life is filled with illusions on all levels of knowledge acquisition, from sensation to perception, from scientific discourse to the use of technology based on the latest scientific discovery.

인간 정신의 구조와 복잡한 신경계를 갖춘 인간 인식자의 구체적인 구체화를 더 깊이 파고들면, 우리의 정신 생활은 감각에서 지각, 과학적 담론에서 최신 과학적 발견에 기반한 기술 사용에 이르기까지 지식 습득의 모든 수준에서 환상으로 가득 차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Yet, once again, we cannot make sense of this picture of ourselves as immersed in the area of ignorance and illusion without at the same time relying on a huge background of shared, objective knowledge that makes our ignorance available to us.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re interwoven with our fallibility.

그러나 다시 한번, 우리는 무지와 환상의 영역에 잠긴 우리 자신의 모습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동시에 우리의 무지를 드러내는 거대한 공유된 객관적 지식의 배경에 의존하지 않고서는 말입니다. 주관성과 객관성은 우리의 오류 가능성과 얽혀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조경사 - 중세의 조경

조경사 - 고대정원

2025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40번 문제

조경사 - 동양[중국의 조경]

2025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31번 문제

2025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39번 문제

조경사 - 동양(한국조경)

Shifts in U.S. Foreign Policy and Their Impact on Northeast Asia.

2025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32번 문제

2025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