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38번 문제

 38.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An alternative view is that we make sense of the sensations we feel and the facial expressions we see only when we attach words to them we develop rather than inherit our emotional concepts.


We experience emotions as different bodily sensations, such as a beating heart and sweaty palms; we recognize emotions in others by their facial expressions and behaviour. (1) One prominent idea is that we are born with a fixed set of basic emotions that are universal within our species, notably happiness, sadness, fear, surprise, disgust and anger. (2) Just as we attach the word gravity to our intuitive understanding about how objects move through space, we simply attach words to each of these innate and universal emotions once those words become available, (3) Key evidence is that children are unable to categorise facial expressions as representing different emotions until they have acquired a lexicon of words for emotions, (4) Before having such words, faces that we might view as angry, sad or fearful are all categorised together as 'unpleasant', (5) By acquiring the words for different types of emotions while experiencing sensations or observing their expressions in others, we develop a set of concepts into which those feelings can be placed.

* lexicon: 어휘 목록

정답: 3


An alternative view is that we make sense of the sensations we feel and the facial expressions we see only when we attach words to them we develop rather than inherit our emotional concepts.

또 다른 관점은 우리가 느끼는 감각과 우리가 보는 표정을 이해하는 것은 감정 개념을 물려받는 것이 아니라, 단어를 붙여서 발전시킬 때에만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We experience emotions as different bodily sensations, such as a beating heart and sweaty palms; we recognize emotions in others by their facial expressions and behaviour. 우리는 심장이 뛰는 것, 손바닥에 땀이 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신체 감각으로 감정을 경험합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표정과 행동을 통해 감정을 인식합니다.


(1) One prominent idea is that we are born with a fixed set of basic emotions that are universal within our species, notably happiness, sadness, fear, surprise, disgust and anger.

(1) 한 가지 중요한 생각은 우리 종 내에서 보편적인 기본 감정, 특히 행복, 슬픔, 두려움, 놀람, 혐오, 분노의 고정된 세트를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입니다.


(2) Just as we attach the word gravity to our intuitive understanding about how objects move through space, we simply attach words to each of these innate and universal emotions once those words become available,

(2) 물체가 공간을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한 직관적 이해에 중력이라는 단어를 붙이듯이, 이러한 선천적이고 보편적인 감정에 대한 단어가 생기면 그 단어에 단어를 붙입니다.


(3) Key evidence is that children are unable to categorise facial expressions as representing different emotions until they have acquired a lexicon of words for emotions,

(3) 주요 증거는 아이들이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의 어휘집을 습득하기 전까지는 얼굴 표정이 다른 감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류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4) Before having such words, faces that we might view as angry, sad or fearful are all categorised together as 'unpleasant',

(4) 그러한 단어가 생기기 전에는 화가 나거나 슬프거나 두려운 것처럼 보이는 얼굴은 모두 '불쾌한' 것으로 분류됩니다.


(5) By acquiring the words for different types of emotions while experiencing sensations or observing their expressions in others, we develop a set of concepts into which those feelings can be placed.

(5) 다른 사람의 감각을 경험하거나 표정을 관찰하면서 다양한 유형의 감정에 대한 단어를 습득함으로써, 우리는 그러한 감정을 배치할 수 있는 개념 집합을 개발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조경사 - 중세의 조경

조경사 - 고대정원

2025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40번 문제

조경사 - 동양[중국의 조경]

2025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31번 문제

2025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39번 문제

조경사 - 동양(한국조경)

Shifts in U.S. Foreign Policy and Their Impact on Northeast Asia.

2025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32번 문제

2025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21